728x90

조선일보 명조체를 소개합니다.

‘조선일보 명조체’는 1999년 조선일보 서체개발연구소와 ‘산돌커뮤니케이션’이 만든 뒤, 조선일보가 한 글자 한 글자 공들여 가다듬어온 고유 서체로 기존 명조체를 계승 발전시켜 획의 단순한 과정을 거쳐 현대적 미감에 맞게 제작한 새로운 명조체입니다.

 

조선일보 명조체 사용법
'조선일보 명조체'는 일반 PC용은 한자 포함 총 2만6195자, Mac 전용은 총 1만4317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참고
운영체제가 WIN7 이상 64bit 이고 프린터가 hp 제품일 경우 유니버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인쇄 기본옵션 > 글꼴옵션'에서 [소프트웨어 글꼴] 로 변경해야만 인쇄가 가능합니다.

 

조선일보 명조체 저작권
조선일보명조체의 지적재산권은 (주)조선일보사에 있습니다.
조선일보명조체는 개인 및 기업 사용자에게 무료 제공되며, 사용자들은 이를 다른 이에게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어떠한 경우에도 복사 또는 배포에 따른 대가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조선일보명조체는 지적재산권자 이외의 사용자가 수정해서 판매할 수 없으며, 배포된 형태 그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조선일보명조체 다운로드 ↓

 

728x90
728x90

2025년 7월 예약 시작, 3분기 말 인도 예정인 Kia EV4는 슬릭한 세단과 도심형 해치백을 함께 선보이는 신개념 전기차입니다.

디자인은 기아의 최신 디자인 철학인 'Opposites United' 아래 미래지향적이고 간결한 비율을 자랑합니다. ‘Star‑Map’ LED 램프와 고유한 Tiger Face 그릴 패턴이 매력적으로 조화를 이룹니다.

성능은 58.3 / 81.4 kWh 배터리 선택지와 함께 150 kW 전륜모터 탑재, WLTP 기준 최대 630km 주행, 0→100 km/h 제로백은 7.4~7.7초 수준입니다.**

내부는 30인치 초대형 디스플레이, 스트리밍 기능이 내장된 Vehicle Smart TV, 그리고 디지털 키와 i‑Pedal 같은 스마트 기능을 갖춘 초연결·고급화된 EV 실내 경험을 선사합니다.

안전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HDA2, HOD 등 최신 ADAS 기술 외에도 고도화된 서스펜션과 보디 설계로 사용자 안전과 승차감 모두 만족시킵니다.

Kia EV4는 결국 ‘전기차의 새 기준’을 선언하는 모델입니다.

 

1. 🧭 모델 개요 및 출시 일정

Kia EV4(코드명 SZ1e)는 2025년 Kia EV Day에서 세계 최초로 공식 공개되었고 carwow.de+6kia.com+6Kia+6,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 2025년 7월부터 예약 판매 시작, 3분기 말부터 인도 개시 예정입니다 kia.comKia Global Media Centerhonestjohn.co.uk.


2. ✨ 디자인 & 외관 특징

  • 미래지향적이고 단순한 라인: 기아의 “Opposites United” 철학을 따라 EV9·EV5와 공통적 디자인 언어 적용 carwow.de+2press-eu.kia.com+2.
  • 전면부: 세로형 LED 헤드램프 + Kia의 “Star‑Map” LED 조명과 더불어 새로운 재해석의 ‘Tiger Face’ 그릴 디자인 적용 kia.com+4honestjohn.co.uk+4Kia Global Media Center+4.
  • 프로파일: 세단형 슬릭한 루프 라인 (길이 4,730 mm)과 해치백형 보다 짧은 해치버전(4,430 mm) 두 가지 제공 carwow.de+1.
  • 공기역학: 저항계수 약 0.23 Cd, 완전 언더커버 적용 Kia Global Media Center.

3. 🔋 파워트레인 & 제원 요약

항목내용
플랫폼 현대·기아 E‑GMP 400V 기반
배터리 옵션 58.3 kWh (표준), 81.4 kWh (롱 레인지)
최고 주행 가능 거리 WLTP 기준 최대 630 km (롱 레인지 세단) kia.com+4Kia+4kia.com+4Kia+4Kia Global Media Center+4carwow.de+4
모터 출력 및 성능 전륜 150 kW 모터, 0‑100 km/h ≈ 7.4‑7.7초 Kia Global Media Centerhonestjohn.co.uk
충전 시간 10→80% 충전 약 31분 Kia Global Media Center
충전 기능 V2L (3.6 kVA), V2G (10 kVA) Kia Global Media Center
 

4. 🛋 인테리어 & 편의 기능

  • 30인치 와이드 디스플레이: 12.3” 클러스터 + 5.3” 공조 + 12.3” AVNT로 구성된 ccNC (Connected Navigation Cockpit) Kia Global Media Center+1.
  • Vehicle Smart TV: YouTube, Netflix, Disney+ 등 스트리밍 앱 지원 및 게임/노래방 기능까지 포함 honestjohn.co.uk+1.
  • i-Pedal 3.0: 다양한 회생 제동 레벨 설정 가능하며 Smart Regenerative Braking과 결합되어 회생효율 극대화 honestjohn.co.uk+1.
  • Digital Key 2.0: 최대 15개 장치 (예: Apple Watch) 공유 가능하며 스마트폰으로 문 여닫기 지원 honestjohn.co.uk+1.
  • 인테리어 수납: 슬라이딩 센터 콘솔 (커피 테이블 기능), 대형 수납 공간 및 무드 조명 포함 Kia Global Media Center.

5. 🚥 안전 및 주행지원 시스템

  • HDA 2 (Highway Driving Assist)Hands-on Detection (HOD) 기능을 조합한 고급 ADAS 탑재
  • 최신 조향 및 현가 세팅: MacPherson 전륜 + 멀티링크 후륜, 진동감쇠 밸브 적용 등으로 승차감 최적화 Kia Global Media Center+1.
  • 내구·안정성을 위한 차체 및 조향 시스템 강화 → 유럽·미국 NCAP 최고 등급 목표 Kia Global Media Center.
728x90
728x90

 

🔮 ESS의 미래 전망

✅ 1. 폭발적인 수요 증가

  • 재생에너지 확대: 태양광·풍력 등 간헐적인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ESS는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필수 인프라로 부상.
  • 전력망 안정화 역할: 주파수 조절, 부하 평준화 등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 기술로 ESS 도입 증가.
  • 전기차 보급과 연계: EV 보급 확대에 따라 2차 전지 산업과 ESS 기술의 동반 성장.

✅ 2. 기술 트렌드

  • 배터리 기술 진화
    • LFP → NCM → Solid-State → Flow Battery로 발전 중.
    • 수명 증가, 화재 위험 감소, 비용 절감이 핵심.
  • AI 기반 EMS
    • AI로 충방전 최적화, 예측 유지보수 등 지능형 ESS 운영 시스템 확산.
  • V2G, VPP 연계
    • Vehicle-to-Grid, 가상발전소 기술과 ESS 통합 운영이 주요 미래 모델로 주목.

✅ 3. 시장 전망

  • 글로벌 시장 규모:
    • BloombergNEF에 따르면 2040년까지 1,095GW / 2,850GWh 저장용량 도달 예상.
    • 2025년 시장 규모 약 100조 원 이상으로 성장 전망.
  • 정책 지원 강화:
    • 미국 IRA법, EU REPowerEU, 한국 K-배터리 전략 등으로 투자 급증.

🏭 주요 글로벌 ESS 업체

기업 국가 특이사항

Tesla 미국 Megapack, Powerwall 등 글로벌 리더. 소프트웨어(AutoBidder) 강점.
LG Energy Solution 한국 BESS용 LFP 전환 중. 글로벌 대형 프로젝트 수행.
Samsung SDI 한국 고출력 NCA 기반 BESS, 고온/고안전성 시스템 집중.
BYD 중국 ESS+EV 연계 플랫폼 강점, 가격 경쟁력 우위.
Fluence (Siemens + AES JV) 미국/독일 세계 1위 ESS EPC 및 EMS 운영 업체 중 하나.
CATL 중국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 ESS용 LFP 및 Na-ion 배터리 개발.
Hyosung Heavy Industries 한국 PCS 및 ESS 통합 EPC 역량 보유.
SK On 한국 고출력 배터리 기반 B2B ESS 시장 진입 중.

📌 한국 내 주목할 업체

  • 현대일렉트릭: ESS + 발전소 + 해상풍력 연계 솔루션.
  • LS ELECTRIC: PCS 및 EMS 전문.
  • 포스코퓨처엠: ESS용 양극재·음극재 내재화 추진.
  • 한화에너지 / 한화큐셀: ESS 기반 태양광 발전소 구축.

📈 투자 포인트 요약

  • 🔋 배터리 기술 내재화 여부
  • 🧠 EMS 소프트웨어 경쟁력
  • 🏗️ 프로젝트 수주 실적 및 EPC 역량
  • 📉 단가 하락 속도 / 수익성 유지
  • 🌍 글로벌 규제 및 정책 수혜 기대
728x90
728x90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련 주요 용어들을 아래에 총정리 형태로 정리해 드립니다.

이 정리는 배터리 ESS 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 구성 요소, 운용, 경제성, 안전성 관련 용어들을 포함합니다.


✅ 1. 기초 용어

용어 설명

ESS (Energy Storage System) 전기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 주로 배터리 기반.
BES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 기반 ESS. 리튬이온배터리가 주로 사용됨.
PCS (Power Conversion System) 교류(AC)↔직류(DC) 변환 장치. 배터리와 전력망 사이 전력 변환 역할.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의 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과충전/과방전 방지 등.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전체 에너지 흐름을 제어 및 최적화하는 시스템.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 시스템.

✅ 2. 배터리 관련 용어

용어 설명

SoC (State of Charge) 배터리 충전 상태 (0~100%). 연료 게이지와 유사.
DoD (Depth of Discharge) 배터리 방전 깊이. 예: DoD 80% → SoC 20%까지 방전함.
C-rate 충방전 속도 지표. 1C는 1시간에 전량 충전/방전하는 속도.
Cycle Life 배터리가 정해진 DoD로 충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횟수.
Capacity (용량)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양 (단위: kWh, MWh).
Voltage Window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 범위.
IR (Internal Resistance) 내부 저항. 높을수록 열 발생 증가.

✅ 3. 운영/설계 관련 용어

용어 설명

Peak Shaving 최대 부하 시간대의 전력 사용을 줄이기 위해 ESS 사용.
Load Leveling 부하가 낮은 시간에 충전하고, 높은 시간에 방전.
Time of Use (TOU) 시간대별 전기 요금 차이를 이용한 충·방전 전략.
Black Start 외부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발전기 기동을 지원.
Grid Stabilization 전력망 주파수 및 전압 안정화에 ESS 활용.
Fast Frequency Response (FFR) 주파수 급변 시 빠르게 대응하는 기능.

✅ 4. 설비 구성 요소

용어 설명

Rack 배터리 셀 또는 모듈을 구성한 기본 단위 구조.
Container 랙, PCS, BMS, 냉각장치 등을 포함한 전체 ESS 장비 박스.
Thermal Management System 배터리 온도 제어 시스템 (공냉식/수냉식 등).
Fire Suppression System 화재 감지 및 억제 시스템. (가스 소화기, 센서 등)
Precharge Circuit 전류 급격한 유입 방지용 충전 초기 회로.

✅ 5. 경제성과 수익 모델 관련 용어

용어 설명

LCOS (Levelized Cost of Storage) 저장 단가. ESS 전력 1MWh당 비용.
Capex Capital Expenditure. 설비 투자 비용.
Opex Operating Expenditure. 운영/유지보수 비용.
AR (Availability Rate) 시스템 가동 가능 시간 비율.
Degradation 배터리 성능 저하 현상. 사용 주기에 따라 감소.

✅ 6. 배터리 종류별 용어

종류 설명

LFP (LiFePO₄) 리튬인산철.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김.
NCM (Nickel Cobalt Manganese) 에너지 밀도 높음. 주로 EV, 고출력 ESS에 사용.
VRFB (Vanadium Redox Flow Battery) 흐름식 배터리. 장수명, 화재 위험 낮음.
NaS (Sodium Sulfur Battery) 고온 운전. 대용량 장주기 시스템에 사용.

✅ 7. 표준 및 인증 관련 용어

용어 설명

UL 9540 / 9540A ESS 안전성 평가 인증/시험.
IEC 62933 국제 에너지 저장 시스템 표준 시리즈.
NFPA 855 ESS 설치 관련 미국 방화 기준.
ISO 26262 기능 안전성 평가 기준. (자동차 포함)

✅ 8. 안전 관련 용어

용어 설명

Thermal Runaway 과열로 인해 연쇄 반응적 발열 및 폭발 현상.
Fire Propagation 하나의 셀이 화재로 다른 셀까지 번지는 현상.
Insulation Monitoring 누설전류 및 절연 상태 모니터링.
HVIL (High Voltage Interlock Loop) 고전압 시스템의 안전 감지 회로.
Fail-safe 고장 시에도 안전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구조.

✅ 9. 기타 관련 용어

용어 설명

VPP (Virtual Power Plant) 분산된 ESS/발전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가상 발전소.
Aggregator 소규모 전원/ESS를 통합해 전력시장에 참여시키는 중개자.
Microgrid 독립적으로 운전 가능한 소규모 전력망.
Behind-the-Meter (BTM) 사용자의 부하 측에 설치된 ESS.
Front-of-the-Meter (FTM) 전력망 측에 설치된 ESS.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