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영화 '명량'의 김한민 감독의 이순신 3부작 중 두 번째 프로젝트 '한산: 용의 출현'이 캐스팅을 확정하고 촬영에 돌입 한다고 합니다.

2014년 7월 30일 개봉해 1761만명의 관객을 동원한 대한민국 역대 박스오피스 신기록을 수립한 '명량'의 후속 작품입니다.

캐스팅은 박해일(이순신 역), 변요한(와키자카 역), 안성기(어영담 역), 손현주(원균 역), 김성규(준사 역), 김성균(가토 역), 김향기(정보름 역), 옥택연(임준영 역), 공명(이억기 역), 박지환(나대용 역), 조재윤(마나베 역)까지 다양한 세대의 배우들 중 완벽한 적임을 찾아냈다고 합니다.

'한산: 용의 출현' 촬영에 이어 하반기 '노량'(가제)까지 김한민 감독은 이순신 장군의 해전을 완성, 개봉할 예정이며. '한산: 용의 출현'은 5월 18일 크랭크 인, 2021년 여름 개봉 예정입니다.

영화 제작 순서와 실제 전투가 발생한 시점은 맞지 않는것 같네요.

1 - 명량 - 2014년 - 1597년

2 -  한산 - 2020년 - 1592년

3 - 노량 - 2021년 - 1598년

한산대첩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학익진일것 같습니다.

지형을 이용한 전략인데 정말 멋지네요.

그럼 한산도 대첩은 정확하게 어떤 역사적인 전쟁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1. 개요

임진왜란 중 벌어졌던 이순신의 승전 중 하나로 행주대첩진주대첩 함께 임진왜란 3대 대첩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한산해전의 승리로 인해 평양까지 진격한 고니시는 추가 보급 및 병력 지원이 없어 더이상 나아가지 못했고, 왜군의 수륙병진을 완전히 박살낸 대첩이다. 여담으로 당시에는 한산도 해전이 아니라 견내량 해전으로 많이 불렸다.


2. 한산도 대첩의 배경

선조 25년(1592), 5월과 6월 사이 2차 출동을 통해 전라 좌수사 이순신의 함대를 주축으로 한 조선 수군은 사천, 당포, 당항포, 율포로 이어지는 일본의 육군 수송 부대와 수군을 상대로 일방적인 토벌전에서 승리하게 된다.
이에 해안의 수군 부대가 조선 수군에 의해 동쪽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염려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6월 23일자 명령을 통해 용인에서 육군과 호응하던 수군 부대인 와키자카 야스하루 다시 해안으로 급파하고, 오다 노부나가 시절부터 수군의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구키 요시타카 그 외 가토 요시아키 등 3인을 소집하여 잔존 수군과 규합하여 조선 수군을 토벌하도록 명령했다.
이에 조선 수군은 8월 12일 전라 우수사 이억기와 더불어 경상 우수사 원균의 함대 등 총 55척이 노량에서 합세하게 된다.


3. 전투 전개

6월 14일 일본 수군은 구키 요시타카 중심으로 부산포에 집결했지만 이미 용인 전투에서 조선군이 약체임을 증명한 와키자카는 7월 7일, 자신의 함대만을 이끌고 거제도로 단독 출격을 개시했다. 그 날 저녁 무렵에 왜선 70여척이 견내량에 머무르고 있다는 첩보를 확인한 조선 수군은 8일 한산도 근해에서 이를 확인했다.
왜군의 세력은 대선이 36척, 중선이 24척, 소선 13척 등 모두 73척으로 구성된 함대였다. 이전의 해전처럼 항구에 정박한 왜군 함대를 포위 섬멸하는 형태로 전투를 치르기엔 견내량 주변이 협소하고 암초가 많은데다 조류의 흐름도 역류여서 판옥선이 서로 부딪힐 가능성이 있었다. 결국 함대 간의 전면전이 불가피하자 조선군은 한산도 근해에서 적들을 유인 섬멸할 계획을 세웠다.
대여섯 척으로 구성된 소규모 함대를 미끼조로 투입하여 일본 수군을 전체를 건져내는 유인책을 시작으로 작전을 시작했다. 식견이 있는 지휘관이라면 당연히 매복을 의심할 상황이었지만, 와키자카가 이미 휘하의 1500명으로 조선군 5만을 격퇴한 용인 전투를 경험하여 조선군의 전력을 과소평가했으므로, 왜군 함대는 손쉽게 조선 수군이 던진 미끼를 물었다. 조선군의 퇴각을 확인하자 와키자카는 한산도 연안의 다도해 내로 거침없이 함대를 몰았고, 퇴각하는 척하던 이순신의 함대는 해협을 지나 복병을 배치해둔 작전수역에 진입했다. 와키자카의 함대가 들어서자 한산도 좌우의 섬에서 기다리던 전선들은 3개 부대로 나뉘어 학익진을 형성, 일본 수군을 포위한 뒤 십자포화로 공격했다.

때마침 역방향으로 해류가 바뀌었고, 조선 수군은 이에 총통과 화전을 쏘며 전진했다. 전 방향에서 날아드는 탄망에 주력선인 세키부네(關船, 관선)는 물론이고 일본군 내 주요 가신들이 탄 아타케부네(安宅船, 안택선)까지 줄줄이 격침되고, 일본군은 제대로 된 반격 한번 하지 못하고 마흔 척이 넘는 군함을 잃었다. 심지어 지휘관인 와키자카 본인도 지휘선을 관통한 화살에 맞아 부상당했다. 이후 그는 속도가 빠른 다른 관선을 타고 김해로 빠져나가 목숨을 건진다. 와키자카의 잔존 부대는 200-400여 명 정도가 한산도에 배를 내버려둔 채 인근의 무인도로 도망쳤으며, 대선 1척, 중선 7척, 소선 6척 등은 멀리서 해전을 관망하다가 일본군의 주요 부대가 모두 격침당하자 방향을 바꾸고 김해로 후퇴했다.


4. 한산도 대첩의 결과

말도 안되는 참패를 겪은 일본군은 이틀 뒤인 16일 안골포 해전에서 뒤따라 출격한 구키 요시타카 함대까지 각개격파를 당하게 되며, 거의 100여척에 달하는 대함대가 고작 3일만에 수장당하는 치명타를 입는다.

이에 더 이상 해상 전투에서 큰 의미를 두기 힘든 것을 알아차린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해전 대신 해안선 방어를 하라는 뜻에서 '해전 금지령'을 선포하면서 사실상 남해의 제해권을 조선 수군이 되찾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로 인해 조선의 서해를 통한 수륙병진이라는 목표가 좌절됨과 더불어 이순신 함대의 4차 출동에는 조선과 일본을 이어주는 일본의 본진 부산까지 습격당한다. 이렇게 일본군이 해상 요격 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것은 명나라의 남하와 더불어 일본의 임진왜란의 큰 패인이 된다. 애초 계획이었던 육군과 수군이 같이 진격한다는 수륙병진전략이 깨진 것이다.


이번에도 멋진 영화 기대합니다.


728x90
728x90

[충무공 이순신]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전선이 남아 있습니다."

(今臣戰船 금신전선 尙有十二 상유십이)


"무릇 죽기를 각오하면 살고, 살려고 하면 죽을 것이다."

(必死則生 필사즉생 必生則死 필생즉사)


"망령되이 움직이지 말라. 침착하게 태산처럼 무겁게 행동하라."

(勿令妄動 물령망동 靜重如山 정중여산)


"석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강산이 두려워하고, 한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로 강산을 물들이다."

(三尺誓天 삼척서천 山河動色 산하동색 一揮掃蕩 일휘소탕 血染山河 혈염산하)


"싸움이 급하니 내 죽음을 알리지 말라."

(戰方急 전방급 愼勿言我死 신물언아사)


혹시 이순신 장군 하면 이 분이 먼저 떠 오르지는 않습니까?

괜찮습니다.


네 바로 충무공 이순신 탄신일 475주년 입니다.


이순신 장군님은 이런 분이셨습니다.


1545(인종 1) 4월 28일(음 3월 8일)
사망1598(선조 31)
국적조선, 한국
본관덕수(德水, 지금의 황해도 개풍군 덕수리)
시호충무공(忠武公)
여해(汝諧)


[주요 업적]
- 32세 : 함경도에 초급장교인 권관(權管)으로 임명됨
- 36세 : 전라도 발포만호(鉢浦萬戶)로 임명 (포구 수비)
- 38세 : 만호에서 파직당함(시기하는 무리때문에 모함으로)
- 39세 : 복직되어 함경북도 권관으로 근무, 호적(胡賊)의
괴수(魁首) 울지내를 사로잡아 양민을 보호함.
- 42세 : 조산만호(造山萬戶)가 됨
- 43세 : 록도둔전(鹿島屯田)을 관리하는 중에 호적의
습격을 받아 60여명이나 포로가 되어 잡혀가는 것을 구출하다가 화살을 맞고 좌고(座股)에 상처를 입었으나 도리어 모함을 받고 투옥됨
- 45세 : 전라도 정읍현감에 태인관을 겸함
- 47세 : 유성룡의 천거로 마침내 전라좌수사가 되어 여수에 부임 장차 왜적이 쳐들어올 것을 직감하고 권한과 범위내에서 전쟁준비에 열중하심.
- 48세 : 1592년 4월 13일 임진왜란 발발,
▷ 5월 07일 : 제1차 옥포해전 대승첩(對勝捷)
▷ 5월 29일 : 경상도 사천에서 승첩
▷ 6월 02일 : 제2차 당포해전 대승첩
▷ 7월 08일 : 제3차 한산도대승첩- <학날개 전법> 서해로 가려는 왜적들을 완전소탕.
▷ 9월 01일 : 제4차 부산대승첩
- 49세 : 삼도수군통제사로 승임
- 50세 : 전염병으로 십여일이나 고통을 당함
- 52세 : 적군의 음모와 원균의 시기로 서울로 압송
- 53세 : 정탁(鄭琢)의 상소문이 주효하여 석방, 백의종군함 다시 통제사로 복직,
여병(余兵) 백여명과 12척의 전함으로 결사항전하기로 맹서함.
▷ 9월 16일 : 명량해전대승첩, 울독목에서 30척 격파
- 54세 : 1598년 8월 17일 풍신수길이 죽으매 왜적의 철군 시작
▷ 왜함 500여척을 추격하여 남해 노량에서 큰 격전을 벌였음.
▷ 11월 19일 - 밤새 독전하다가 날이 샐 무렵에 탄환을 맞아 전순(戰殉)하심,
임종시 유언에 따라 전투가 끝난 뒤에 발상(發喪)이 마지막 격전으로 적은
크게 패하여 500여척의 전함중 겨우 50 척만이 남해로 달아나 7년간의
임진란이 종식됨.

출처: https://cjdthdrhtps.tistory.com/226 [좌충우돌 한국생활 - 아름다운 미래를 향하여]


코로나도 있고, 황금연휴도 있고, 날도 좋지만 충무공 이순신 탄신일을 한번 기억 해 보는 것도 좋을것 같네요.

728x90

+ Recent posts